한국사랑/조선사
-
조선 시대 상복과 시복의 변화 1한국사랑/조선사 2019. 1. 30. 23:15
조선의 관복은 용도에 따라 크게 다섯 가지 종류로 나뉜다. 공복, 시복, 상복, 제복, 조복이 그것이다. 이 중 공복과 제복, 조복은 형태와 용도가 명확히 구분되어 혼동되기 쉽지 않지만, 시복과 상복은 용도와 형태가 혼동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대한 연구로 안동대 이은주 교수의 "조선시대 백관의 시복과 상복 제도 변천", 2005의 논문이 나와 있다. 먼저 시복(時服)과 상복(常服)의 의미부터 살펴보자. 상복은 항상 상 자로 일상복을 의미한다. 시복은 때 시 자로 특정한 상황에 입는 옷이다. 이것이 원칙이다. 그러나 후술하겠지만 조선 후기에는 두 개념이 서로 반전된다. 1. 조선 초기(용도 미분화) 일단 시복과 상복은 조선 초기만 하더라도 딱히 구분되어 있지 않았다. 동일한 내용에 대해 실록은 시복..
-
4대의 얼굴 비교한국사랑/조선사 2019. 1. 8. 22:11
왼쪽 위부터 차례대로 태조 이성계, 익안대군 이방의(태조의 3남), 왼쪽 아래부터 효령대군 이보(태종의 2남), 수양대군 이유(세종의 2남).익안대군 영정에서 사모의 뿔이 네모난 것은 아마 후대에 이모하는 과정에서 실수를 한 것 같다. 그럼에도 전반적으로 조선 초의 영정 티가 잘 난다. 익안대군 영정은 도난 당했다가 최근에 극적으로 되찾았다.효령대군 영정은 제작시기가 분명하지 않다. 대군답지 않게 익선관과 곤룡포를 연상케 하는 차림이 특이하다. 대군이 독실한 불자였던 탓일까 불화의 느낌마저 난다. 그럼에도 태조로부터 이어진 무인의 풍모가 분명하다. 효령대군으로부터 양녕대군과 세종, 태종의 생김새를 그려볼 수 있다. 양녕대군은 세자 시절 몰래 궁 밖으로 나가서 사고를 칠 때마다 자신을 가리켜 “효령대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