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기독교의 금주 전통에 대하여기독교 일반 2019. 3. 2. 20:47
한국 개신교에서 전통적으로 금하는 세 가지 사항이 있다. 음주, 흡연, 제사이다. 반면 신자라면 꼭 해야 하는 세 가지 일도 거론한다. 예배, 전도, 헌금이 그것이다. 후자를 3행, 전자를 3무라 하여 3행 3무가 한국 개신교의 전통이 되어 내려오고 있다. 여기서 금주와 금연 전통은 한국 개신교에서만 찾아질 수 있는, 한국 개신교만 갖고 있는 전통으로 보통 여겨지는 듯 하다. 여기서 흡연은 최근 건강 문제로 사회에서도 금기시 되어 가고 있지만 술은 그렇지 않다. 그래서 사회 생활하며 술을 안 마실 수 없는 이들이 과하지 않을 만큼 적당히 마시는 것은 안 되냐고 많이 물어오면서 하는 말이 있다. 그것은 다른 나라에서는 안 그런데 왜 유독 우리나라에서만 금주를 명하는 것인지 하는 물음이다. 좋다. 다른 나라..
-
한국 감리교 장로교 교세 차이 이유교회사랑/한국교회사 2019. 2. 21. 03:33
우리나라의 최대 개신교단은 장로교회다. 비록 크게는 네 개, 작게는 200여 개로 쪼개져 있는 상황이지만, 이를 한 묶음으로 봤을 때 장로교가 한국 최대의 개신교단임을 부정할 수는 없다(약 600만). 반면 감리교는 약 140만으로, 장로교의 약 1/5 가량 밖에 되지 않는다.그런데 이와 같은 한국의 상황은 전 세계적으로 봤을 때 매우 이례적이다. 장로교는 16세기에 형성된, 개신교 주요 교파 중 나이가 많은 편에 속한다. 그럼에도 전 세계의 장로교회 교인수는 그리 많지는 않다. '개혁교회'라는 범주로 잡았을 때는 전 세계적으로 7천 5백만 명 가량의 교세를 확보하고 있지만, '장로교회'로 한정했을 때 1,800만 명에 지나지 않는다. 반면 감리교회는 '웨슬리안'이라는 범주로 잡았을 때는 약 3억 7천만..
-
-
신약성서, 특히 목회서신에 나오는 ‘장로’에 대하여카테고리 없음 2019. 2. 12. 12:32
신약의 '장로'가 한국 개신교회의 '장로'와 동일한 직분일까? 많은 장로님들이 당신들 직분을 신약을 인용하여 설명하느라 애 쓰시는데, 간단히 이야기하면 고대 교회의 장로와 현대 한국 개신교회의 장로는 다르다. 장로님들이 자주 인용하는 구절은 디모데전서 4:14 "네 속에 있는 은사 곧 장로의 회에서 안수 받을 때에 예언으로 말미암아 받은 것을 조심 없이 말며"일 것이다. 디모데전후서와 디도서는 2세기 초의 문헌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시기는 초대 교회 때의 카리스마적 직분이 점차 사라지고 제도적 직분이 등장하던 시기다. 카리스마적 직분이 사라진다는 것은 교회 내에 위계가 생기기 시작했다는 의미이다. 곧 감독(episkopos->bishop), 장로(presbyteros->presbyter, p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