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신약성서의 사본성서학/신약학 2019. 2. 11. 14:54
1. 사본(寫本) 성서의 원본을 손으로 베낀 것으로 필사본(筆寫本)이라고도 한다. 2. 사본의 종류 재료에 따라 파피루스 사본과 양피지 사본으로, 기록된 문자에 따라 대문자 사본과 소문자 사본으로 나뉘며, 주요 성경구절을 발췌한 성구집도 있다. 1) 파피루스 사본 : 갈대의 일종인 파피루스를 엮어 기록한 것으로 가장 이른 시기의 사본들이 파피루스에 기록되었다. 시기은 3-4세기 이전이며 대문자로 기록되었다. 지금까지 약 124개가 발견되었다. 2) 대문자 사본 : 파피루스보다 내구성이 좋은 양피지에 기록되었으며 3-4세기부터 소문자 정착 시기 이전인 8-9세기 이전 기록되었다. 지금까지 약 318개가 남아 있다. 3) 소문자 사본 : 양피지에 기록되었으며 시기는 8-9세기 이후이다. 구텐베르크가 금속활자..
-
야웨와 야훼, 여호와: 하나님의 이름에 대하여기독교 일반 2019. 2. 8. 18:42
야웨와 야훼, 여호와 하나님의 이름은 개역성경에서 "여호와", 공동번역에서는 "야훼"로, 전문 신학서적에서는 "야웨"로 번역한다. 이 중 무엇이 맞을까. 결론부터 말하면 '여호와'가 아니라 '야웨'가 맞다. 히브리어에는 본래 모음을 나타내는 알파벳이 없다. 그저 자음만 나열하고, 전통적으로 읽어오던 대로 읽었었던 것뿐이다. 가령 "ㅌㅅㅌㄹ" 이라고 쓰고 읽을 땐 '티스토리'라고 읽는 식이다. 하나님의 이름을 일컫는 거룩한 네 글자(Tetra grammaton) YHWH에도 분명 읽는 방법이 있었다. 하지만 유대인들은 하나님의 이름을 감히 일컫지 못했다. 대신 YHWH를 만날 때마다 '주님'을 뜻하는 '아도나이'로 바..
-
이용도의 균형 잡힌 영성교회사랑/한국교회사 2019. 2. 8. 18:30
역시 그 해 1931년 가을이었다. 원동교회 집회를 인도하시던 목사님은 어느 가족의 눈물겨운 형편을 듣게 되었다. 김OO씨의 가족이 끼니를 굶는다는 말을 전해 듣고 또 직접 보셨다. 그는 누구나 다 아는 사람이다. 어떤 일을 하다가 결국은 OO을 당했다. 그 가족이 살던 곳에서 더 이상 살 수가 없어 마침내 OO를 떠나 한국에 건너와 경성에까지 이른 것이다. 그러나 야박한 경성 인심은 그들을 거들떠 보지도 않았다. 조밥 몇 술도 얻어 먹지 못해 굶고 있었다. 이 소식을 목사님께서 듣게 된 것이다. 목사님이 그 집엘 찾아갔을 때도 대여섯 되는 식구들이 차가운 냉돌방에 서로 마주 보고 앉아 얼굴만 쳐다보며 허기를 달래고 있었다. 그 때 목사님께서 어떻게 하셨는지 알 수 없다. 다음에 있는 얘기는 그 후에 생..
-
2019년 2월 8일 새벽예배 말씀기독교 일반/설교, 묵상 나눔 2019. 2. 8. 14:29
창세기 15:1-6 15:1. ‘이후에’. 우리가 성경을 읽을 때는 언제나 앞장과 뒷장의 흐름을 생각해보아야만 합니다. 오늘 우리가 보는 성경은 장과 절로 연결되어 있지만 성경이 처음 쓰일 당시에는 이런 구분이 없었습니다. 지금은 그런 구분이 있다 보니 우리가 성경을 읽을 때 범하는 실수 중 하나는 장과 절을 너무 의식한다는 점입니다. 그러나 성경이 처음 쓰일 땐 이런 장치가 없었다는 것을 기억하며 우리는 언제나 앞장과 뒷장이 연결되어 있음을 주목해야 합니다. ‘이후에’라는 말은 바로 앞의 14장 내용을 이야기합니다. 14장에서 아브람은 위기에 처한 롯을 구하고 강대국의 왕들을 무찔렀습니다. 이는 믿음으로 양보를 한 대상인 롯이 처한 위기를 결코 좌시하지 않고 믿는 자의 아량을 보여준 훌륭한 행동이었습니..
-
성찬을 자주 시행해야 하는 이유기독교 일반 2019. 2. 2. 12:49
최근 지인으로부터 성찬을 ‘자주’ 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 질문을 받았었다. 다음과 같이 대답했다. 1. 우리말 성찬제정사의 번역 문제 대부분 개신교회에서 고전 11:24을 “이것을 행하여 나를 기념하라”로 번역한다. 하지만 원문에서는 ‘행하다(ποιεω)’가 주동사로, 현재 능동태 2인칭 복수 명령법으로 활용되어 있다. 따라서 ‘나를 기념하여 이를 행하라’가 옳은 번역이다. (헬: τοῦτο ποιεῖτε εἰς τὴν ἐμὴν ἀνάμνησιν, 영: Do this in remembrance of me) * ‘기념하라’든 ‘행하라’든 그게 그거 아니냐고 묻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는 뉘앙스가 아니라 번역의 정확성 문제다. 2. 헬라어에서 현재 명령법은 반복적인 동작을 나타냄 헬라어 명령법에는 독특하게..